맨위로가기

철도박물관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철도박물관은 대한민국 의왕시에 위치한 철도 관련 박물관이다. 1935년 철도종사원양성소 구내에 설치되어, 한국전쟁으로 소장품이 소실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으나, 1988년 현재의 박물관을 개관하였다. 이후 한국철도공사 직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철도 유물과 차량, 각종 모형 등을 전시하고 있다. 1만 점에 달하는 소장품 중 다수가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왕시의 관광지 - 백운호수
    경기도 의왕시에 위치한 백운호수는 주변에 다양한 시설과 볼거리가 있으며, 훼손지 복구 사업으로 문화체육공원 등 4개의 테마공원이 조성될 예정이다.
  • 의왕시의 관광지 - 왕송호
    경기도 의왕시에 위치한 왕송호는 의왕시자연학습공원, 왕송맑은물처리장, 의왕조류생태과학관, 철도박물관, 의왕레일파크 등 다양한 시설들과 함께 자연 학습, 수질 관리, 생태 연구, 역사 체험, 레저 활동 기능을 수행하며 지역 사회에 기여하는 호수이다.
  • 대한민국의 교통 박물관 - 제주항공우주박물관
    제주항공우주박물관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 위치한 항공·우주 테마 박물관으로, 관광 활성화와 교육 관광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건립되어 2014년 개관, 항공기와 전시관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교통 박물관 - 르노코리아 갤러리
    르노코리아 갤러리는 2001년 개장하여 SM7, QM5 등의 절개 모델과 생산 공정 관련 정보를 전시하며, 르노코리아 공식 사이트를 통해 공장 견학 예약을 받고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해 있다.
  • 1988년 설립된 박물관 - 거창박물관
    경상남도 거창군에 위치한 거창박물관은 1988년 개관 후 1993년 박물관으로 승격되었으며, 2009년 재개관하여 무료로 운영되지만, 매주 월요일과 명절에는 휴관한다.
  • 1988년 설립된 박물관 - 바레인 국립박물관
    바레인 국립박물관은 마나마에 위치하며 5,000년 바레인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유물을 소장하고 있고 딜문 문명, 전통 생활 방식, 틸로스 및 이슬람 시대 유물, 자연사 전시관을 운영하며 딜문 분묘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철도박물관 (대한민국)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철도박물관
철도박물관
정식 명칭철도박물관
전문 분야교통
사업 주체한국철도공사
관리 운영한국철도공사
개관1988년 1월 26일
소재지대한민국 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로 142 (월암동 374-1)
영어 안내Korea Railroad Museum
한글철도박물관
한자鐵道博物館
히라가나てつどうはくぶつかん
가타카나チョルトバンムルグァン
홈페이지철도박물관 홈페이지
현황휴관

2. 연혁

철도박물관의 역사는 일제 강점기인 1935년 용산의 철도종사원양성소 구내에 설치된 철도박물관에서 시작되었다. 해방 이후 대한민국 정부가 운영을 인수했으나 한국전쟁으로 소장품 대부분이 소실되는 아픔을 겪었다. 이후 각지에 흩어져 있던 유물들을 모아 1981년 철도고등학교 구내에 철도기념관을 세웠고, 이를 바탕으로 1988년 현재 위치에 철도박물관이 정식 개관하였다. 1997년에는 서울역 구 역사에 서울역관을 추가로 열었으나, 2004년 KTX 개통과 함께 서울역이 신축되면서 현재의 박물관으로 통합 운영되고 있다.

2. 1. 설립 배경

일제 강점기인 1935년 용산의 철도종사원양성소 구내에 철도박물관이 설치된 것이 시초이다. 해방 이후 미 군정청을 거쳐 대한민국 정부가 운영을 인수받았으나, 한국전쟁으로 인해 소장품 대부분이 소실되었다. 이후 흩어져 있던 유물들을 모아 전시하기 위해 1981년 철도고등학교 구내에 철도기념관을 설립하였다. 1988년에는 이를 확대 개편하여 현재의 철도박물관이 되었다. 1997년에는 서울역에 서울역관을 개관했으나 2004년에 현재의 박물관으로 통합되었다.

2020년 기준으로 철도박물관은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철도만을 전문적으로 전시하는 공립 기관이다. 철도 문화가 철도 동호인 등을 중심으로 확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유일한 기관으로 남아있는 이유는, 운영 주체인 한국철도공사가 지속적인 적자를 겪고 있어 박물관을 추가로 운영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다만 마산역이나 노량진역 등의 사용하지 않는 공간에 철도 관련 물품을 전시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이들을 사실상 철도박물관의 지역 분관으로 볼 수도 있다.

2. 2. 발전 과정

일제 강점기인 1935년 용산 철도종사원양성소 구내에 철도박물관이 설치된 것이 시초이다. 해방 이후 미군정을 거쳐 대한민국 정부가 운영을 인수했으나, 한국전쟁으로 인해 소장품의 절대다수가 소실되었다.

전쟁 이후 각 기관에 보관되던 유물들을 모아 종합적으로 전시하기 위해, 1981년 철도고등학교 구내에 철도기념관을 설립했다. 이것이 1988년 확대 개편되어 현재의 철도박물관으로 발전했다. 1997년에는 서울역 구 역사에 서울역관을 추가로 개관했으나, 2004년 KTX 개통과 함께 서울역 신역사가 건설되면서 현재의 박물관으로 통합되었다.

2020년 기준 철도박물관은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철도만을 전문적으로 전시하는 국립 박물관이다. 철도 문화가 철도 동호인 등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음에도 유일한 전문 박물관으로 남아있는 이유는, 운영 주체인 한국철도공사가 지속적인 운영 적자를 겪고 있어 박물관을 추가로 운영할 여력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다만 마산역, 노량진역 등 일부 역사의 유휴 공간에 철도 관련 물품을 전시하는 작은 공간들이 마련되어 있어, 이를 사실상 철도박물관의 지역 분관으로 볼 수도 있다.

철도박물관 입구 표지판


'''주요 연혁'''

연도날짜주요 내용
1935년용산 철도종사원양성소 내 철도박물관 설치 (시초)
1948년대한민국 정부 운영권 인수
1953년한국전쟁으로 소장품 대부분 소실
1981년4월 13일철도기념관 설립 추진위원회 구성
10월 15일철도기념관 개관 (철도고등학교 실습장 내)
1986년12월 4일철도박물관 신축 착공 (현 위치, 부곡교육단지 내)
1988년1월 26일철도박물관 개관
4월 10일유료 관람 시작
12월 31일교통공무원 교육원 교수부 내 철도유물관리실 설치, 박물관 운영 담당
1994년2월 1일철도박물관 독립기관으로 승격 (대한민국 철도청 소속)
9월 15일서울역관 기공
1995년4월 1일입장료 인상
1997년4월 1일서울역관 개관 (서울역 구 역사 내)
2001년1월 1일주식회사 한국철도신문에 운영 위탁
2004년1월 1일사단법인 철우회에 운영 위탁
2월 18일서울역관 폐지, 현 박물관으로 통합 (서울역 신역사 건설 영향)
2010년1월제1종 전문박물관으로 등록
2013년2월 1일입장료 인상 (1인당 500KRW → 2000KRW)
2016년2월 1일한국철도공사 직영으로 전환 (위탁 운영에서 직영으로 변경)


3. 전시

철도박물관은 실내 전시관과 야외 전시장을 통해 대한민국 철도의 역사와 문화를 다각도로 보여준다. 실내 전시관에서는 철도의 도입부터 현재까지의 발전 과정, 다양한 철도 차량의 변천사, 신호·통신·선로 등 철도 기술의 발달, 그리고 미래 철도의 비전 등을 주제별로 나누어 전시하고 있다. 특히, 실제처럼 움직이는 모형 철도 디오라마수도권 전철 운전 체험 시뮬레이터 등은 관람객에게 생생한 경험을 제공한다.

야외 전시장에는 과거 대한민국의 철길을 누볐던 증기 기관차, 디젤 기관차, 전동차, 객차, 화차 등 역사적 가치가 있는 실물 차량들이 다수 보존되어 있어, 한국 철도 차량의 역사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3. 1. 상설전시관

철도박물관의 상설전시관은 크게 실내 전시실과 야외 전시장으로 나뉜다. 실내 전시실은 1층과 2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1층 전시실에서는 대한민국 철도의 시작과 발전 과정, 다양한 종류의 기차 역사, 그리고 움직이는 모형 철도 디오라마 등을 통해 한국 철도의 전반적인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

2층 전시실에서는 철도 신호, 통신, 선로 등 기술적인 분야의 발전사와 과거의 다양한 승차권, 미래 철도의 비전을 보여주는 전시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철도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야외 전시장에서는 과거 실제로 운행했던 증기 기관차, 디젤 기관차, 전동차, 객차 등 다양한 실물 철도 차량들이 전시되어 있어, 한국 철도 차량의 변천사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3. 1. 1. 1층 전시실

'한국철도의 태동' 부분에서는 철도 이전 교통수단의 발달 과정과 대한민국 초창기의 철도 관련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최초의 증기기관차인 페니다렌호와 모가형 증기 기관차의 모형, 구 서울역의 양식당 '그릴'에서 사용했던 집기류 등을 볼 수 있다.

'여러 기차들의 역사' 부분에서는 철도 차량의 발달 과정과 다양한 종류를 전시하고 있다. 또한, 수도권 전철 전동차의 운전대와 유사하게 제작된 모의 운전대에서 운전 체험을 할 수 있다.

'모형철도 파노라마실'에서는 대한민국에서 실제로 운행되었거나 현재 운행 중인 다양한 철도 차량 모형을 디오라마로 제작하여 전시하며, 하루 6회(동절기 5회) 가동한다.

이 외에도 1층 전시실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고 있다.

  • 옛 수송 수단과 한국 철도사
  • 철도 신호, 통표
  • 각종 기관차
  • 역 건물 패널
  • 철도 직원 제복, 소지품
  • 승차권, 발권 장치
  • 선로, 보선 장비
  • 전화 통신 장비
  • 개찰기, 건널목 장치
  • 고속철도 관련 자료
  • 운전 시뮬레이션 (리뉴얼됨)
  • HO모형 철도 파노라마실
  • 뮤지엄 숍 등

3. 1. 2. 2층 전시실

'신호기의 역사' 부분에서는 철도의 신호·전기·통신 분야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보여주는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쌍신폐색기부터 ATS용 지상자까지, 1905년 이후의 관련 유물들을 소장하고 있다.

'철길의 역사' 코너는 철도 교통이 등장하기 이전부터 사용된 레일(궤도)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설명한다. 다양한 중량의 레일 단면을 전시하여 실제 궤도의 모양과 크기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기차표와 철도여행' 코너에는 1899년부터 현재까지 사용된 여러 종류의 승차권이 전시되어 있다. 에드몬슨식 승차권과 승차권에 구멍을 뚫는 데 사용된 개표·검표용 가위, 승차권에 날짜를 찍는 일부기, 그리고 철도 승무원의 제복 등이 소장되어 있다.

'미래철도실'에서는 통일 이후 유럽까지 이어질 대륙 횡단 철도와 신교통수단의 미래 모습을 전망한다. 어른 눈높이보다 높은 곳에 설치된 지구 모형을 통해 각 대륙의 주요 철도망을 살펴볼 수 있다.

'철도체험터'는 2층에 마련된 철도 문화 체험 공간이다. 처음에는 야외 전시장에 있던 초저항 객차 1량을 활용하여 조성되었다. 이곳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체험과 전시를 즐길 수 있다.

  • 옛 수송 수단과 한국 철도사
  • 철도 신호, 통표
  • 각종 기관차 모형
  • 역 건물 패널 전시
  • 철도 직원 제복 및 소지품
  • 승차권 및 발권 장치
  • 선로 구조 및 보선 장비
  • 전화 통신 장비
  • 개찰기 및 건널목 장치
  • 고속철도 관련 전시
  • 운전 시뮬레이션 (리뉴얼됨)
  • HO 모형 철도 파노라마실
  • 뮤지엄 숍 등

3. 1. 3. 야외 전시장

야외 전시장에는 19량의 철도 차량이 있으며, 그 외에도 증기 동력식 기중기, 공작창 기계류 등이 보존되어 있다. 1972년 제작되어 2004년까지 서울역에 설치되었던 철도기점비 또한 이곳에 위치한다. 과거 전시되었던 KTX-산천 목업은 2013년 5월 철거되었다. 매표소 옆에는 무궁화호 도색을 한 객차 1량이 있는데, 이는 원래 통일호 객차였던 것을 구내 매점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야외 전시장에 위치한 주요 철도 차량은 다음과 같다.

야외 전시장 주요 전시 차량
구분차량 번호/명칭주요 특징/설명
증기 기관차파시형 증기 기관차 5-23호주로 여객 열차 견인
미카형 증기 기관차 3-161호주로 화물 열차 견인. 1981년~1983년 경주-부산 간 관광열차 견인 이력 있음.
혀기형 증기 기관차 11-13호수인선 운행 협궤용 증기 기관차
디젤 기관차3100호대 디젤 기관차 3102호미국 ALCO 제작
전동차우등형 전기 동차 9904호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1001-1315-1115호일명 '초저항'
디젤 동차우등형 디젤 액압 동차 9222-9322-9422호특별 동차
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 672호니가타 트랜시스 제작
협궤 디젤 액압 동차 9161호수인선 운행 협궤용 기동차
특별 동차 1, 2, 5, 6호우등형 디젤 동차 형태
특별 동차 8호디젤 액압 동차 형태
비둘기호용 동차 9601형가와사키 중공업 제작. 동태 보존 상태로 전시장 내 약 300m 구간 운행 중.
객차통일호 객차 13069호
통일호 객차 13101호
비둘기호 객차 12061호
협궤 객차 18011호수인선 운행 협궤용 객차
귀빈 객차 16호 (대통령 전용)조선총독부 철도국 시절 전망 침대차 개조
귀빈 객차 17호 (주한 UN군 사령관 전용)조선총독부 철도국 시절 특급 아카츠키용 밀폐식 전망차(라틴이1형) 개조
화차 및 기타디젤 난방차 905호
협궤 무개 화차 91031호
협궤 유개 화차 90013호
EMU-250



이 외에도 증기식 기중기, 멀티플 타이탬퍼 등이 전시되어 있다.

'''주요 전시물 사진'''


  • -]--

통일호 객차 13101호

3. 2. 소장품

현재 약 1만 점의 전시품을 소장하고 있다. 주요 소장품은 다음과 같다.

  • 차량 모형과 명판
  • 통표폐색기 등 신호 설비
  • 차표 및 시각표, 다이어그램, 배선도
  • 보선 장비
  • 각종 기기
  • 각종 부품
  • 김재현 기관사 유품
  • 구 서울역 그릴 비품

주요 전시 차량

구분차량명번호제작사비고
증기 기관차미카3형 증기 기관차161호주로 화물 열차 견인. 1981년부터 1983년까지 경주-부산 간 관광 열차 견인.
증기 기관차파시5형 증기 기관차23호주로 여객 열차 견인.
디젤 기관차3100호대 디젤 기관차3102호미국 ALCO
특별 객차대통령 전용 객차조선총독부 철도국 시절 제작된 전망 침대차.
특별 객차주한 미군 사령관 전용 객차조선총독부 철도국 시절 특급 아카츠키용 밀폐식 전망차(라틴이1형)를 개조한 차량.
객차통일호용 객차13101호
객차비둘기호용 객차12061호
수도권 전동차1000호대 전동차1001, 1301, 1115호
우등형 전기 동차9900호대 전동차9904호
디젤 동차9211계 디젤 동차(NDC)
디젤 동차일본제 디젤 동차672호니가타 트랜시스
디젤 동차일본제 디젤 동차9601형가와사키 중공업동태 보존 상태.
협궤 증기 기관차혀기11형 증기 기관차13호한국 마지막 협궤철도수인선에서 운행했던 증기 기관차.
협궤 디젤 동차9161형 디젤 동차수인선에서 운행했던 디젤 동차.
협궤 객차협궤 객차18011호수인선에서 운행했던 객차.



이 외에도 난방차, 화차, 증기식 크레인차, 멀티플 타이 탬퍼 등이 야외에 전시되어 있다.

실내 전시관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전시되어 있다.


  • 옛 수송 수단과 한국 철도 역사
  • 철도 신호, 통표 등 신호 관련 설비
  • 각종 기관차 모형 및 설명 자료
  • 과거 역 건물 사진 및 패널
  • 철도 직원의 제복 및 소지품 변천사
  • 시대별 승차권 및 발권 장치
  • 선로 구조 및 보선 장비
  • 철도 통신 장비의 발전 과정
  • 개찰기, 건널목 차단기 등 역무 설비
  • 고속철도 관련 전시물
  • 운전 시뮬레이션 체험 시설 (리뉴얼됨)
  • HO 게이지 모형 철도 파노라마실
  • 뮤지엄 숍 등 편의 시설

4. 이용 안내


  • 개관 시간
  • * 하절기 (3월 ~ 10월): 오전 9시 ~ 오후 6시
  • * 동절기 (11월 ~ 2월): 오전 9시 ~ 오후 5시
  • * 입장은 폐관 30분 전까지 가능하다.
  • 휴관일
  • * 매주 월요일
  • * 법정 공휴일 다음 날
  • * 1월 1일 (신정)
  • * 설날추석 연휴 기간
  • * 기타 박물관이 별도로 정하는 날
  • 입장료
  • * 4세 미만, 65세 이상,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는 무료 입장이 가능하다.
  • 교통편
  • * 수도권 전철 1호선 의왕역에서 하차하여 동쪽 출구로 나온 뒤, 선로를 따라 남쪽으로 7~8분 정도 걸으면 박물관 입구에 도착한다.
  • * 서울 시내에서 의왕역까지는 약 1시간 정도 소요된다.
  • * 박물관으로 가는 길과 박물관 구내에서는 경부선을 오가는 열차와 남부화물기지선으로 출입하는 화물 열차의 입환 장면을 볼 수 있다.

5. 교통

수도권 전철 1호선 의왕역에서 하차하여 동쪽 출구로 나온 뒤, 선로를 따라 남쪽으로 7~8분 정도 걸으면 박물관 입구에 도착한다. 박물관으로 가는 길과 박물관 안에서는 바로 옆 경부선을 오가는 열차들을 볼 수 있다. 또한, 경부선 서쪽의 넓은 야드에서는 남부화물기지선을 드나드는 화물 열차의 입환 장면도 볼 수 있다. 서울 시내에서 의왕역까지는 약 1시간 정도 소요된다.

6. 역대 관장


  • 김기억 : 초대 박물관장으로, 1973년부터 전국의 각 역에 공문을 보내 박물관에 전시할 유물을 수집하였다.[1]
  • 손길신
  • 정병철
  • 정문영
  • 배은선 (2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